곳곳에서 수많은 축제들이 열리고 있다. 특히 지자체 실시 이후 각 지역에서 다양한 볼거리와 문화체험의 기회를 접할 수 있어 굳이 서울 중심권으로 눈을 돌리지 않아도 됨이 의미 있고 반갑다.
사람들은 대개 방송이나 신문을 통해 축제에 관한 정보를 얻고 행선지를 결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런 상관 관계는 TV프로그램의 경우 음식이나, 관광, 그리고 건강 같은 주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시청률이 높고 인기가 있다는 것에서 증명되는데 그래서 시청률을 의식하는 제작자는 정보로서도 가치가 있는 여가활용 위주의 소재를 일부러 선택하기도 하고 또 그런 점을 이용하여 지자체의 축제 관계자는 언론사와 접촉하며 홍보와 마케팅 전략을 펴기도 한다.
작년에 전국적으로 치러진 축제가 725개, 그렇게 지역마다 경쟁적으로 행사를 치르다 보니 TV매체는 지자체마다의 적극적인 홍보 대상이 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어느 핸가 어떤 이가 나를 찾아와 자기네 행사를 프로그램에 소개해 달라기에 살펴본 후 부정적인 답을 했더니 협박 비슷한 간청을 하던 일이 있었다. 방송의 힘을 등에 업고 행사장의 부스판매와 입장료 수익을 챙기기 위함이었다.
그런가 하면 예산을 그렇게 헤프게 써도 되나 싶을 정도로 수억 내지는 수십억의 홍보비를 제시하며 많은 횟수의 TV스파트와 행사의 공동 주최 또는 후원을 요구하기도 한다. 공익성보다는 정치적 흑심으로 전시효과적인 성과를 의식하는 경우가 없지 않아 엄격한 심의로 가려낸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축제의 성격과 그 안에 담기는 콘텐츠가 아닌가 싶다. 행사의 콘텐츠가 좋으면 방송이나 소비자로서의 시청자가 스스로 행사장을 찾기 때문이다. 우리 지역에서 열리는 지평선이나 반딧불같은 축제는 지난 해 우수 축제로 뽑혀 정부지원과 함께 품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러나 대대수의 행사는 축제의 컨셉과 프로그램상의 콘텐츠가 미흡하여 전문성이나 차별성이 떨어지고 거기에다 선심이나 과시, 무사안일로 막대한 예산만 집행될 뿐 겉치레 행사가 많았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행사장의 방문객 유치 숫자를 마구잡이로 계산하거나 상품 판매액수를 구매의향 계약액이라는 허수에 불과한 애매한 숫자로 부풀리고 지방비나 국비까지 수입으로 잡아 흑자행사로 둔갑시키면서 성공적인 행사로 치부하기도 한다. 성공적인 행사로 평가받아야 행사에 관여한 인물들이 얼굴을 세울 수 있고 연례행사로 고정시키며 주위의 좋은 평판과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단순한 눈요기 감이 아니라 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차원에서의 지역 전통성을 살린 다양한 현장 체험 기회, 특산품 판매, 풍부한 먹거리와 편안한 잠자리까지를 제공하여 실질소득과 연계하는 방안도 적극 마련되어야 한다. 그래서 축제로서의 경쟁력과 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주민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아울러 지역민의 단결과 화합을 유도하는 축제여야 할 것이고 지역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
좋은 계절 속에 전주국제영화제, 남원 춘향제 등 많은 행사들이 손님맞이를 준비하고 있다. 귀중한 세금으로 만들어지는 축제고 보면 그 모든 축제들이 독창적이며 풍부한 콘텐츠로 꾸며져서 방문객들의 사랑을 속에 성공한 행사로 자리매김 되길 바란다. 여기에는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못지않게 감시역할 또한 중요함을 첨언하고 싶다.
(2007. 4.12. 전북일보)
'내가 했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륵에 터를 잡고 (0) | 2009.12.26 |
---|---|
끝없는 유정천리 (0) | 2009.12.26 |
자연이 희망 아닌가 (0) | 2009.12.26 |
자연이 돋보이는 터전 (0) | 2009.12.25 |
내 마음의 숲 (0) | 2009.12.25 |